빈칸 문제는 그~~ 렇게 어렵다고 할 수 없어요. 다만 모든 게 매력적인 오답이라 함정에 빠지기 쉬울 뿐이죠. 보기의 정보(=키워드, 주인공, 방향)를 잡고, 빈칸 주변 문장을 읽고 정보를 잡고 답을 넣으면 돼요. 다만 이때 정보가 너무 모호한 경우 앞 문장을 읽어서 답을 확정하면 되죠. 뭐 이러니 저러니 해도, 약간의 독해 전략과 MSG 같은 추론 능력만 있다면, 무난한 문제예요!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seus was a great hero to the people of Athens. When he returned home after a war, the ship that had carried him and his men was so treasured that the townspeople preserved it for years and years, replacing its old, rotten planks with new pieces of wood. The question Plutarch asks philosophers is this: is the repaired ship still the same ship that Theseus had sailed? Removing one plank and replacing it might not make a difference, but can that still be true once all the planks have been replaced? Some philosophers argue that the ship must b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Butif this is true, then as the ship got pushed around during its journey and lost small pieces, it would already have stopped being the ship of Theseus. *plank: 널빤지
[전략 1: 보기 정보 잡기]
① the reminder of victory >> 승리를 상기시키기 ② the sum of all its parts >> 모든 부분의 총합 ③ fit for the intended use >> 의도된 용도에 적합 ④ the property of the country >>국가의 재산 ⑤ around for a long period of time >> 오랜 시간 동안 주위에
- 개별 정보, 빈칸에서 방향 잡을 것
[전략 2: 빈칸 주변 문장을 읽고 방향 잡기]
[Removing one plank and replacing it](S)/ might not make(V)/ a difference(O)/, but can(V)/[that still be true once all the planks](S)/ have been replaced(have+pp)/? Some philosophers(S)/ argue (V)/[that the ship(S)/ must be(V)/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부분을 교체하거나 제거해도 차이는 없다. 그러나 모든 널빤지를 교체해도 그럴 수 있을까?
2) 일부의 철학자는 주장한다. 배는 반드시 [빈칸]
- 주인공:교체, 부분, 전체, 배
- 빈칸 방향:부분의 교체는 차이가 없지만, 전체가 바뀌어도 처음처럼 차이가 없을까에 대한 철학자의 대답.
>> 질문과 대답은 그 자체로 방향으로 볼 수 있어요
>> 잡은 방향과 주인공을 근거로 보기를 의심과 유력으로 나눠요.
① the reminder of victory >> 승리를 상기시키기
>>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음 의심
>> 방향: 철학자가 질문(=전체와 부분의 수정)에 대한 대답으로 승리를 말할 수 없음
② the sum of all its parts >> 모든 부분의 총합
>> 부분이라는 주인공이 등장함 유력
>> 방향: 철학자가 질문 (=전체와 부분의 수정)에 대한 대답으로 가능함.
③ fit for the intended use >> 의도된 용도에 적합
>>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음의심
>> 방향: 철학자가 질문(=전체와 부분의 수정)에 대한 대답으로 의도된 용도를 말할 수 없음
④ the property of the country >>국가의 재산
>> 역시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음 의심
>> 방향: 철학자가 질문(=전체와 부분의 수정)에 대한 대답으로 국가의 재산을 말할 수는 있음
⑤ around for a long period of time >> 오랜 시간 동안 주위에
>>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음의심
>> 방향: 철학자가 질문(=전체와 부분의 수정)에 대한 대답으로 시간을 말할 수 없음
>> 저는 철학자의 대답에 해당하는 빈칸 뒤에 바로 역접이 등장해서 더 읽기로 했어요. 역접 뒤의 내용을 통해 앞의 내용을 추론할 수 있으니까요!
[전략 3: 역접을 중심으로 추론하기]
Butif this(S)/ is(V)/ true(SC)/,[then as the ship got pushed around during its journey and lost small pieces], it(S)/ would already have stopped(have+pp)/ being(O)/ the ship(의미상 O)/ of Theseus(pre+N)/.
1) 그러나,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이미 테세우스의 배가 아니다.
2) 배가 이리저리 밀렸다, 여행 동안 그리고 작은 조각들을 잃었다.
- 이것은 앞의 빈칸을 의미해요. 대명사는 앞에서 등장한 특정 명사 외에도 내용 전체를 의미할 수 있어요.
- 뒤에 나온 내용에서도 앞의 내용과 유사한 주인공과 방향을 가지고 있어요.
- 빈칸 방향: 부분의 교체는 차이가 없지만, 전체가 바뀌어도 처음처럼 차이가 없을까에 대한 철학자의 대답
- 뒤 문장 방향과 주인공: 작은 조각(=부분)을 잃은(=바뀌다) 테세우스의 배는 더 이상 테세우스의 배(=전체)가 아니다.
① the reminder of victory >> 승리를 상기시키기
>> 빈칸 방향, 뒷 문장 방향과 전혀 상관없고, 읽은 내용에서도 "승리"는 등장하지 않아요. 제외
② the sum of all its parts >> 모든 부분의 총합
>> 빈칸 방향과, 뒷 문장 방향과 주인공이 일치해요. 내용에서도 부분과 전체가 등장하죠. 확정
>> 빈칸 방향에서도 이미 유력했어요.
③ fit for the intended use >> 의도된 용도에 적합
>> 빈칸 방향, 뒷 문장 방향과 전혀 상관없고, 읽은 내용에서도 "용도에 적합"이라는 내용은 없어요 제외
④ the property of the country >>국가의 재산
>> 빈칸 방향, 뒷 문장 방향과 전혀 상관없고, 읽은 내용에서도 "국가의 재산"이라는 내용은 등장하지 않아요 제외
⑤ around for a long period of time >> 오랜 시간 동안 주위에
>> 빈칸 방향, 뒷 문장 방향과 전혀 상관없고, 읽은 내용에서도 "오랜 시간"이라는 내용도 역시 없어요 제외
삽입 문제는 2가지가 제일 중요해요. 첫 번째는 보기 문장에서 정보(= 대명사, 키워드, 주인공, 방향)를 잘 잡았는지. 두 번째는 삽입될 자리 앞뒤의 논리 흐름이에요. 대명사를 통해 앞에서 특정 명사가 등장해야 함을 알 수 있고, 논리 흐름을 통해서 매끄러운 연결이 가능해지죠! 하지만 이번 문제에서는 방향을 추가로 잡고 접근해볼게요. 이러기 위해선 오늘도 역시 우리에겐 약간의 독해 전략과 MSG 같은 독해 전략이 필요해요!
[3줄 독해 전략][오늘 사용할 전략]
VIEW!보기 문장에서 정보 잡기
1) 대명사가 언급되어 있는 경우 특히 주의
2) 글의 방향에 주의할 것. 방향을 잡을 수 있다면 난이도는 급하락!
VIEW! 보기의 정보를 잡은 후, 반드시 앞 문장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잡을 것.
1) 즉 방향은 두 개가 존재해요.
2) 앞 문장 방향 (=글 전체 방향)
3) 보기 방향 (=글 세부 방향)
VIEW!삽입은 반드시 앞, 뒤의 정보를 비교해야 함!
1) 특히 흐름이 급격하게 바뀌는 경우 답에 유력!
2) 흐름이 일정한 경우 의심!
3) 역접이 등장하면, 예민하게 주의할 것! (전체 or 부분)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Rather, it is the air moving through a small hole into a closed container, as a result of air being blown out of the container by a fan on the inside.
Hubert Cecil Booth is often credited with inventing the first powered mobile vacuum cleaner. (①) In fact, he only claimed to be the first to coin the term “vacuum cleaner” for devices of this nature, which may explain why he is so credited. (②) As we all know, the term “vacuum” is an inappropriate name, because there exists no vacuum in a vacuum cleaner. (③) But I suppose a “rapid air movement in a closed container to create suction” cleaner would not sound as scientific or be as handy a name. (④) Anyway, we are stuck with it historically, and it is hard to find any references to “vacuum” prior to Booth. (⑤) Interestingly, Booth himself did not use the term “vacuum” when he filed a provisional specification describing in general terms his intended invention.
*provisional specification: 임시 제품 설명서
[전략 1: 보기 문장 분석]
Rather, it(S)/ is(V)/ the air moving(SC)/through a small hole(pre+N)/ into a closed container(pre+N)/,as a result(pre+N)/ ofair (pre+N)/being blown(being+pp)/ out of the container(pre+N)/by a fan(pre+N)/ on the inside(pre+N)/.
1) 오히려, 이것은 작은 구멍을 통해 밀폐된 용기 안으로 가는 공기의 흐름이다. (=결과)
2) 이것은 안에 있는 펜에 의해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결과다. (=원인)
-rather(ad): used to express an opposite opinion >> rather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 서로 다름을 의미해요
-as a result of (or N=because of): the information you get from something such as a scientific experiment or medical test>> of 뒤에는앞의 결과를 이끌어낸 정보(=원인)가 와요.
-it: 앞에 언급된 특정 정보가 있어야 하며, rather에 시작점으로 앞과 정반대의 내용이 왔음을 주의해야 해요.
-키워드:공기의 흐름, 밀폐된 용기
>> 앞에는 공기 흐름이 없었다 라는 내용이 있어야 해요.
>> 보기 문장 이후로는 공기 흐름이 있다는 내용혹은 다른 내용이 등장할 것 같아요.
-보기 방향:공기의 흐름 유무
[전략 2: 앞 문장 분석]
Hubert Cecil Booth(S)/ is often credited(be+PP)/ with inventing(pre+N)/ the first powered mobile vacuum cleaner(의미상 O)/.
1) HCB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개발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 "진공청소기"를 통해서 보기에서 잡은 방향인 "공기 흐름이 없다"라는 내용과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진공청소기의 역사(?)를 설명할 뿐!
- 앞 문장 방향: 진공청소기 이름의 기원 + (보기 방향:공기의 흐름)
- 그리고 1번이 답이 되기 위해서는 보기 1번 뒤에 "공기 흐름이 있다"라는 내용이 나와야 해요
[전략 3: 각 보기 문장의 방향, 흐름을 scanning 하면서 비교 하기]
(①) In fact,he only claimed to be the first to coin the term“vacuum cleaner”for devices of this nature, which may explain why he is so credited.
1) 그는 주장했을 뿐이다. 처음으로 진공청소기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고.
2) 이런 속성을 가진 장치를
3) 이런 점이 그가 인정받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in fact: add more detailed information to what has just been said, 앞에 언급된 정보를 뒤에서 추가로 설명해줘요
-앞 문장 방향 일치: 보기 1번 뒤의 내용은 보기 1번 앞의 내용과 이어지면서, 이름의 기원에 대한 얘기를 하죠.
-하지만, 보기 방향 불일치: 보기 1번 뒤에 공기 흐름 유무에 대한 내용이없어요
-보기 1번 제외
(②) As we all know,the term “vacuum” is an inappropriate name, becausethere exists no vacuumin a vacuum cleaner.
1) 잘 알듯이, 진공이라는 단어는 부적절하다.
2) 진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because: 때문에 라는 뜻으로 뒤에원인이 나와요
- 앞 문장 방향 일치: 이름이 어울리지 않는다 (=이름의 기원)
- 보기 방향 불일치: 직접 진공(=공기 흐름이 없다) 이 존재하지 않는다 라고 얘기했어요.(rather을 시작점으로 이후엔 공기 흐름에 대한 내용이 등장)가 없어요.
-즉! 보기 2번 제외
(③) ButI suppose a “rapid air movementin a closed container to create suction” cleanerwould not sound as scientific or be as handy a name.
1) 그러나, 나는 가정했어, "밀폐된 용기 속 빠른 공기의 흐름이 생성한 흐름"청소기라는 단어가 과학적이거나 편리한 이름으로 들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 but은 전체의 역접이 아니에요.
- 앞 문장 방향 일치: 이름에 대한 가정 (=이름의 기원에 대한 설명)
- 보기 방향 일치:공기의 흐름, 특히 앞에서 언급된 적 없던"in a closed container"가 등장했어요. 그러면서 동시에 이름이 어울리지 않는다 하면서 앞 문장의 방향을 이어가죠.
- 보기 3번은 유력
(④) Anyway,we are stuck with it historically, andit is hard to find any references to “vacuum” prior to Booth.
1) 어쨌든 우리는 역사적으로 막혀있으며. 그리고 이것은 찾기가 힘들다. booth이전에 진공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예를
-앞 문장 방향 일치: 이름의 기원의 이전에 사용 기록을 찾기 힘듦 (=기원에 대한 설명)
-보기 방향 불일치: 공기 흐름에 대한 언급이 없음.
- 보기 4번 제외
(⑤) Interestingly,Booth himself did not use the term “vacuum”when he filed a provisional specification describing in general terms his intended invention.
1) 흥미롭게도, booth는 진공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적이 없다. 그가 그의 발명품을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임시 제품설명서에도.
모의고사는 가끔 한 편의 추리 소설을 읽고 답을 맞히는 것과 같아요. 앞에서 모은 힌트와 방향을 가지고, 뒷문장을 완성해야 하니까요! 그중에서도 빈칸 문제는 많은 부분을 읽을 필요가 없는 몇 없는 문제 형식이죠! 이 과정에서도 우리에게 필요한 건 약간의 독해 전략과 MSG 같은 추론 능력!
VIEW! 이번 문제의 경우 중간에 핵심 문장이 등장했어요. 가장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유형이에요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Credit arrangements of one kind or another have existed in all known human cultures. The problem in previous eras was not that no one had the idea or knew how to use it. It was that people seldom wanted to extend much credit because they didn’t trust that the future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 They generally believed that times past had been better than their own times and that the future would be worse. To put that in economic terms, they believed that the total amount of wealth was limited. People, therefore, considered it a bad bet to assume that they would be producing more wealth ten years down the line.Business looked like a zerosum game. Of course, the profits of one particular bakery might rise, but only at the expense of the bakery next door. The king of England might enrich himself, but only by robbing the king of France. You could cut the pie in many different ways, bu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redit arrangement: 신용 거래
[전략 1: 보기 분석]
① it never got any bigger >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
② its value changed in time > 시간에 따라 가치가 변한다.
③ it made everybody wealthier > 모든 사람을 부유하게 만든다.
④ there always was another pie > 항상 다른 파이가 존재한다.
⑤ everyone could get an even share of it > 모든 사람들이 공평한 양을 얻는다.
[전략 2: 빈칸 앞뒤 문장 읽기]
Business (S)/looked (V)/like a zerosum game(pre+N)/. Of course, the profits(S)/ of one particular bakery(pre+N)/ might rise(V)/, but only at the expense (pre+N)/of the bakery next door(pre+N)/. The king(S)/ of England(pre+N)/ might enrich(V)/ himself, but only by robbing(pre+N)/ the king(의미상O)/ of France(pre+N)/. You (S)/could cut(V)/ the pie(O)/ in many different ways(pre+N)/,bu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비즈니스는 제로섬 게임과 같다.
2) 물론 특정 빵집의 수익이 증가할 것이나, 그것은 바로 옆의 빵집의 희생으로 가능하다.
3) 영국 왕도 스스로 부자가 될 수 있지만, 프랑스 왕을 약탈함으로써 가능하다.
4) 너는 파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자를 수 있다. 그러나[빈칸]
-1)~3)의 내용의 공통점: 이득을 보는 쪽(=빵집, 영국 왕)이 있으면, 이득을 잃는 쪽 (=다른 빵집, 프랑스 왕)이 있다고 말해주고 있어요.
- 파이를 다양하게 자를 수 있다 (= 이득을 본다), 그러나 [빈칸] (<<이득을 잃는다와 유사해야 함)
>> [빈칸]에는 파이가 작아진다, 없어진다 쪽으로 나올 것 같아요.
- 보기 대입
①it never got any bigger >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
- 자르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파이가 커지는 것은 아니죠. 의심
>> 저는 유력하게 봤어요, 전체 양이 고정되어 있어야, 어느 한쪽이 이득을 얻으면, 이득을 잃으니까요,
②its value changed in time > 시간에 따라 가치가 변한다.
- 가치는 이득이 생길 수도, 잃을 수도 있어요. 의심
- 앞줄을 읽으면서 확인할 것! "시간에 따른 변화" 내용이 있는지 찾을 것!
③it made everybody wealthier > 모든 사람을 부유하게 만든다.
- 이득을 잃는다와 유사한 개념이 아님,제외
④there always was another pie > 항상 다른 파이가 존재한다.
- 파이를 자르고, 다른 파이가 나온다는 것은, 다른 빵집이 잘되고, 프랑스 왕이 잘되는 것과 같아요.
- 이득을 잃느다와 유사한 개념이 아님, 제외
⑤everyone could get an even share of it > 모든 사람들이 공평한 양을 얻는다.
- 이들을 잃는다와 전혀 다른 개념이에요, 제외
>> 의심이 없었다면, 답을 찾는 과정은 여기에서 끝이 나요. 하지만 의심이 등장했기 때문에 앞의 문장들을 빠르게 Scanning 해야 해요
[전략 3: 앞 줄 빠르게 scanning, 단 빈칸에서 잡은 방향은 유지!]
Credit arrangements(S)/ of one kind or another (pre+N)/have existed(V)/ in all known human cultures(Pre+N)/.
1) 신용거래는 모든 인간의 문화에서 존재했다.
- 우리가 잡은 방향(=이득을 보는 쪽 있으면, 잃는 쪽 있다)과 상관없으며, 별 내용 없어요.
The problem(S)/ in previous eras(pre+N)/ was not (V)/[(접속사:SC)/ that no one (S)/had (V)/the idea (O)/or knew(V)/[how to use it].
1) 이전 시대의 문제는, 아니다, 사람들이 생각이 없었거나,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이.
>>이전 시대의 문제는 아무도 그 생각을 못했거나,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을 몰랐던 것이 아니었다.
-우리가 잡은 방향(=이득을 보는 쪽 있으면, 잃는 쪽 있다)과 상관없으며, 별 내용 없어요.
It was that people seldom wanted to extend much credit because they didn’t trust that the future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They generally believed that times past had been better than their own times and that the future would be worse.
1) 문제는 사람들은 원하지 않아요 신용거래 확대를.
>> 대명사는 항상 앞의 특정한 정보를 표시해요!
2) 그들은 미래가 지금보다 더 좋을 것이라고 믿지 않았기 때문이죠,
3) 그들은 일반적으로 믿었어요, 과거가 지금보다 좋았으며, 미래는 지금보다 나쁠 것이라고.
- 방향과 상관없어요. 별 내용 없어요, 다만, 지금까지 우리가 의심으로 잡은 시간에 대한 개념은 등장했지만, 시간 변화에 따른 가치 변화는 없어요.
to putthat in economic terms,they believed that the total amount of wealth was limited.
1) 이것을 경제학 용어에 넣어 봅시다. 그들은 믿어요, 그들의 부의 총량은 제한되어 있다고.
-부의 총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말은 우리가 빈칸 주변에서 읽은 문장을 설명해줘요.
>> 부의 총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에서 빵집이 이득을 보면, 다른 빵집은 손해를 보고, 영국 왕이 부자가 되면, 프랑스 왕은 부를 잃는 거죠.
People, therefore, consideredit a bad betto assume that they would be producing more wealth ten years down the line.
1) 그러므로, 사람들은 고려했어요 이것은 나쁜 것이라고,
2) 이것= 그들이 10년 후에 더 많은 부를 만들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
- therefore은 뒤에 결론을 끌고 와요.
- it은 여기서 가짜 목적어로, to assume이하가 진짜 목적어로 쓰였어요
- 이 문장을 통해서, 신용거래가 확장하지 못한 이유가 설명되었어요.
>> 사람들은 부가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했으며, 그에 따라 미래에 더 많은 부를 만들 것이라고 믿을 수 없었기 때문!
흐름 문제는 학생들이 앞 문장에서 정보를 얼마나 잘 잡았는지, 그리고 그 정보를 근거로 뒤에 있는 문장을 읽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문제예요. 다른 그 어떤 문제보다도, 앞 문장의 힘이 강력한 문제 유형이지요! 여기에 약간의 독해 전략과 MSG 같은 추론 능력만 있다면!!
- 매우 귀찮고, 본능 (=단어 하나에 목숨 걸고 해석하는 버릇)에 위배되는 행위이지만, 고득점을 위해선 필수예요!
VIEW! 특히 흐름은 은근슬쩍 주의!
1) 비슷한 단어를 나열하면서 은근슬쩍 들어오는 문장(=방향이 은~~ 근 같은)이 있어요.
2) 방향 외의 것은 함정이다 마인드를 가지세요!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없는 문장은?문장은?
Some of the things we profess to value in the abstract may not, in fact, characterize our actual everyday experiences.①For instance, we say that “honesty” and “open communication” are the foundational values of any strong relationship. ②Butthink of how many times you’ve lied to a potential romantic partner in order to make the person feel better about himself or herself. ③Likewise, every parent knows that lying to their kids about everything from the arrival of Santa Claus to the horrible things that will happen if they don’t eat their peas is a key component of raising a child. ④This is because most parents put more value on discipline than on blind love, and thus honest conversations rather than well-intentioned lies are the better tool for establishing soli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kids.⑤As one author put it, “If you want to have love in your life, you’d better be prepared to tell some lies and to believe some lies.”
*profess: 주장하다
[전략 1: 앞줄 분석! 방향, 주인공, 키워드 잡기]
Some(S)/of the things(pre+N)/ [(관계사)/we(S)/ profess(V)/to value(O: to V)/ in the abstract(pre+N)/] may not, in fact, characterize(V)/ our actual everyday experiences(O)/.
1) 추상적으로 가치 있다 여긴 것들은 우리의 실제 삶, 경험을 반영하지 못한다.
- in fact: a comment that modifies, contradicts, or contrasts with a previous statement. 뒤이어 진술될 내용이 앞에 진술된 내용과 다르거나, 대조됨을 나타내는 힌트예요!
>> 지문에는 없지만, 앞에는 추상적인 가치와 실제 삶의 일치를 말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어요.
- 주인공:추상적 가치, 실제 삶, 반영 X
- 방향:가치 있다고 여긴 "추상적인 가치"들과 "실제 삶"은 "다르다".
[전략 2: 아랫줄은 전부 방향에 따라 scanning 할 것!]
①For instance, we say that “honesty” and “open communication” are the foundational values of any strong relationship.
1) 우리는 "진실"과 "열린 대화"를 강한 관계의 근본가치라고 말한다.
- for instance: 독자들이 앞의 내용(=비교적 어려움)을 이해 못했을 까 봐 주는 힌트 (=비교적 쉬움)에요!
-방향 대입:"진실"과 "열린 대화"(=추상적인 가치)를 강한 관계(=실제 삶,)의 근본가치이라고 말한다.
>> 주의! 다르다, 라는 정보가 들어 있지 않아요!!
- 방향과는 유사하지만, 말 그대로 예시이기 때문에 정답 확정, 또는 보류, 제외라고 할 만한 정보가 없어요.
- 이럴 때는 뒤에 문장을 읽어야 해요.
②But think ofhow many times you’ve lied to a potential romantic partnerin order to make the person feel better about himself or herself.
1) 그러나 생각해보라, 얼마나 우리의 파트너에게 거짓말 해왔었는지. 그 사람이 당신을 더 좋게 느끼게 만들고자.
-but은 지문 전체의 역접이 아니에요, 해석상 보기 1번 문장과 연결된 문장을 의미해요. 그냥 해석해요.
-방향 대입: 진실(=추상적 가치)이 강한 관계(=현실)를 위해 중요하지만, 현실에서는 파트너에게 잘 보이기 위해 거짓말을 한다 (=현실과 추상적 가치는 다르다)
- 보기 1번, 2번 제외
③Likewise,every parent knows [(접속사:O)/that lying(S)/to their kids about everything from the arrival of Santa Claus to the horrible things [that will happen if they don’t eat their peas] is(V)/ a key component(SC)/ of raising a child(pre+N)/.
1) 이와 같이, 부모들은 거짓말을 아이를 기르는 중요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2) scanning부분 추가 해석: 아이들이 콩을 먹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거짓말을 한다. (산타클로스부터 귀신에 이르기까지)
-likewise는 앞의 내용과 같은 내용이 올 것임을 암시하는 힌트예요!
- lying 주어와 is a key~ 사이에 삽입된 내용이 문장 구조를 보기 어렵게 만들었어요. 저라면 이런 문장 시험에 낼 것 같아요. 학생들이 함정에 빠지기 쉬우니까요.
- 방향 대입:거짓말 (=추상적 가치-진실-와 현실과 다른 가장 대표적인 예시) 아이 양육(=현실)의 중요 요소다.
- 보기 3번 제외
④This is becausemost parents put more value on disciplinethan on blind love, andthushonest conversationsrather than well-intentioned liesare the better tool for establishing solid relationshipbetween parents and their kids.
1) 이것은 때문이다, 대다수 부모들은 맹목적인 사랑보다 규율에 가치를 두기 때문이다. 그 결과진실한 대화가 부모와 자녀의 굳은 관계를 만드는 중요한 도구이다.
- thus는 뒤에 결과가 와요. 독해의 중요한 힌트!
- than이하는 버리는 게 해석에 좋아요.
- 대놓고 답이죠. 우리가 잡은 방향과 비교해봐요
- 방향:현실과 추상적 가치는 다르다.
>>강한 관계(=현실)를 위해 진실이 필요하다고 말하지만 (=추상적 가치), 연인에게 잘 보이기 위한 거짓말, 자녀 양육을 위한 거짓말(=현실과 추상적 가치는 다름)을 하고 있죠.
- 방향과 다름:강한 관계(=현실)를 위해서는 진실한 대화(=추상적 가치)가 필요(=둘이 같다)하다???
- 그리고 은근슬쩍 등장했어요. 분명, 바로 앞에서부터 "부모님" "거짓말" "관계"가 나온 것은 맞지만 "discipline: 규율"에 대한 말은 앞에서 나온 적 없어요.
-보기 4번 정답 확정
⑤As one author put it,“If you want to have love in your life, you’d better be prepared to tell some lies and to believe some lies.”
1) 당신의 삶에 사랑을 넣고 싶다면, 당신은 거짓말할 준비를 해야 할 것이며, 거짓말을 믿어야 할 것이다.
제가 모의고사 관련 글을 30개 정도 했더라고요, 그 글을 꾸준하게 읽으신 분이라면, 이제 뭐 빈칸 정도는 눈감고 풀어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은 주말이니 포풍 포스팅! 2019년 고3 4월 모의고사! 우리에게 필요한 건 약간의 독해 전략과 MSG 같은 추론 능력!
[3줄 전략] [오늘 사용할 전략]
VIEW! 앞줄을 읽고 전체 방향과 주인공 잡기!
1) 앞줄 필승!
2) 앞줄 뒤에 오는 역접은 항상 주의
VIEW!빈칸 앞뒤로 읽기
1) 앞줄에서 잡은 정보를 대입하고, 바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글 전체를 scanning 해야 해요
VIEW! 빈칸에 보기를 넣고 읽어보기
1) 빈칸을 포함한 내용이 글 전체 방향과 일치해야 해요
2) 보기는 역접과 같은 특별한 신호가 없는 이상 반드시 글의 방향과 일치해야 해요
VIEW! 대명사는 반드시 앞에서 어떤 정보를 대신하고 있는지 주의해야 해요
1) 영어는 반복을 싫어하는 만큼, 다양한 단어 또는 다양한 대명사로 지문을 구성해요.
2) 다양한 단어나 대명사에 휘둘리는 건 함정에 스스로 걸어 들어가는 행위! 주의해요!
31. The skeletons found in early farming villages in the Fertile Crescent are usually shorter than those of neighboring foragers, which suggests that their diets were less varied. Though farmers could produce more food,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starve, because, unlike foragers, they relied on a small number of crops, and if those crops failed, they were in serious trouble. The bones of early farmers show evidence of vitamin deficiencies, probably caused by regular periods of starvation between harvests. They also show signs of stress, associated, perhaps, with the intensive labor required for plowing, harvesting crops, felling trees, maintaining buildings and fences, and grinding grains. Villages also produced refuse, which attracted vermin, and their populations were large enough to spread diseases that could not have survived in smaller, more nomadic foraging communities. All this evidence of [ 빈칸 ] suggests that the first farmers were pushed into the complex and increasingly interconnected farming lifeway rather than pulled by its advantages.
*forager: 수렵채집인 **refuse: 쓰레기 ***vermin: 해충
① declining health >> 나빠지는 건강
② fading authority >> 사라지는 권한
③ weakening kinship >> 친족관계 악화
④ expanding hierarchy >> 계급의 확산
⑤ prevailing immorality >> 지배적인 부도덕성
[전략 1: 앞줄 필승! 분석하기!]
The skeletons (S)/found (PP)/in earlyfarming villages(pre+N)/in the Fertile Crescent(pre+N)/ are(V)/ usually shorter (SC)/than those (pre+N)/of neighboring foragers(pre+N)/, [(관계사:A)/ which suggests(V)/[(접속사:O)/thattheir diets(S)/ were (V)/ less varied(SC)/].
1) 농경지에서 발견된 뼈는 수렵채집인의 뼈보다 짧았으며, 이는 그들의 식습관의 다양성이 덜했음을 보여준다.
- 주인공: 농경지 뼈, 수렵채집인의 뼈, 식습관 다양성
- 방향: 적은 뼈, 또는 성장에 대한 이유
- 보기 분석:
①declining health >> 나빠지는 건강
②fading authority >> 사라지는 권한
③weakening kinship >> 친족관계 악화
④expanding hierarchy >> 계급의 확산
⑤prevailing immorality >> 지배적인 부도덕성
- 등장하는 보기에서 식습관과 성장 또는 뼈와 관련이 높은 건 1번만 있어요.
- 하지만, 앞줄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잡지 못한 만큼 답을 확정 짓는 건 위험해요.
[전략 2: 빈칸 앞뒤로 읽기]
Villages (S)/ also produced(V)/ refuse (O)/,[(관계사)/which attracted(V)/ vermin(O)/], andtheir populations(S)/ were(V)/ large(SC)/ enough to spread(to V)/ diseases(의미상 O)/[(관계사)/ that could not have survived(V)/ in smaller(pre+N)/, more nomadic foraging communities. All this evidence of [ 빈칸 ](S)/suggests(V)/[(접속사)/that the first farmers(S)/ were pushed(be+PP)/ into the complex and increasingly interconnected farming lifeway(pre+N)/ rather than pulled(be+PP)/ by its advantages(pre+N)/.
1) 마을 사람 (=농경지의 뼈)은 해충이 좋아하는 쓰레기를 만든다.
2) 그들의 인구는 많아졌으며, 질병이 퍼지기 충분하다. 이 인구는 유목 수렵채집인 보다 많았다.
3) 이러한 [빈칸] 증거는 제시한다 ~
- All thisevidence는 앞에 제시된 증거 전체를 받아주는 역할을 해요. << 하나의 덩어리로 보는 거죠,
- 아마 all this 앞에는 뼈 (=건강) 말고 더 다양한 사례가 있을 것 같아요.
- 저는 여기서 앞의 문장들을 scanning 했어요. 사례가 더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죠!
>> 주장(비교적 어려움), 사례(비교적 쉬움)
-1~2)에서 나온 사례와 보기를 연결해봐요
①declining health >> 나빠지는 건강
- 가장 유력하긴 해요. 앞줄에서 작은 뼈에 대한 설명이 나왔어요, 뒤에 문장에서는 해충(=건강, 뼈와 관련)이 발생하는 쓰레기 생산, 질병(=건강 관련)의 확산 등이 나오죠. 끝으로 글의 전체 방향은 작은 뼈에 대한 설명이에요.유력
②fading authority >> 사라지는 권한
-우리가 읽은 문장과 방향에 권한은 등장하지 않아요, 그리고 권한이 작은 뼈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 제외
③weakening kinship >> 친족관계 악화
-우리가 읽은 문장과 방향에는, 친족관계는 등장하지 않아요, 제외
④expanding hierarchy >> 계급의 확산
- 역시 계급은 등장하지 않아요. 제외
⑤prevailing immorality >> 지배적인 부도덕성
- 부도덕성? 은 언급은 가능하겠죠, 쓰레기를 버리다니! 하지만, 작은 뼈와 연관 관계는 없어요. 제외
[전략 3: 나머지 scanning!] << 혹시 모를 역접을 위해 훑는 정도만 해요
Thoughfarmers could producemore food,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starve, because, unlike foragers, they relied on a small number of crops, and if thosecrops failed, they were inserious trouble.
1) 농부들은 식량(=식습관)을 생산함에도, 굶주렸었다. 그들은 적은 양의 곡물에 기대고 있기 때문이며, 농사에 실패하면, 그들은 큰 위험(=성장 위험)에 빠지게 된다.
- 방향과 일치짧은 뼈 성장에 대한 이유 (=굶주림).
The bonesof early farmersshow evidence of vitamin deficiencies,probablycaused by regular periods of starvationbetween harvests.
1) 초기의 농부의 뼈는 비타민 부족의 증거이다. 아마도 야기되었을 것이다, 규칙적인 굶주림으로
- 방향과 일치: 짧은 뼈 성장에 대한 이유 (=굶주림, 비타민 부족)
- 지금까지 다른 보기의 내용은 등장하지 않았아요. 정답은 1번 확정에요
Theyalso show signs of stress, associated, perhaps,with the intensive labor required for plowing, harvesting crops, felling trees, maintaining buildings and fences, and grinding grains.
오늘도 내신 대비 2018년 고2 3월 모의고사 분석을 시작해요. 흐름에 관한 모의고사 포스팅도 많이 했어요. 결론은 잘 잡은 앞줄 하나, 열 줄 부럽지 않다!로 요약할 수 있겠네요. 글의 흐름이란, 앞줄에서 제시한 방향을 논리적으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해요. 그런고로 오늘도 약간의 독해 전략과 MSG 같은 추론 능력으로 시작해봐요!
2) 단 지문 전체의 역접을 발생시키는 경우 (특히 맨 앞줄 바로 뒤에 오는 역접)에는 반드시 구조 분석을 하세요!
-전체 방향과 주인공, 키워드가 달라져요
VIEW! 이후 전체 지문은 Scanning!
1) 영어는 반복을 싫어해요. 하지만 우리는 전체 방향을 알아야 문제를 풀 수 있어요.
2) 다른 단어로 표현된 방향을 확인하려고 하세요
ex) 과일은 건강에 좋다. 사과(=과일)는 피부(=건강)에 좋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은?
In addition to controlling temperatures when handling fresh produce, control of the atmosphere is important. ① Some moisture is needed in the air to prevent dehydration during storage, but too much moisture can encourage growth of molds. ② Some commercial storage units have controlled atmospheres, with the levels of both carbon dioxide and moisture being regulated carefully. ③ Though living things emit carbon dioxide when they breathe, carbon dioxide is widely considered to be a pollutant. ④ Sometimes other gases, such as ethylene gas, may be introduced at controlled levels to help achieve optimal quality of bananas and other fresh produce. ⑤ Related to the control of gases and moisture is the need for some circulation of air among the stored foods.
*dehydration: 탈수
**controlled atmosphere: 저온 저장과 함께 공기의 농도를 조절하는 장치
[전략 1: 앞줄 필승!]
In addition tocontrolling temperatures(pre+N)/[(부사절 접속사+분사)/whenhandling(ing)/ fresh produce(의미상 O)/,control (S)/of the atmosphere(pre+N)/ is (V)/ important(SC)/.
1) 신선 농산물을 다룰 때, 온도 관리, 공기관리 중요하다.
- 주인공: 농산물 관리, 온도 관리, 공기 관리
- 방향: 농산물 관리에는 온도관리와 공기관리가 중요하다.
- 이후 문장은 scanning정도로 확인해요
[전략 2: 각 보기 문장 scanning]
①Some moisture is neededin the airto prevent dehydrationduring storage, buttoo much moisture can encourage growth of molds.
1) 습기는 공기에 필요해요. 건조를 막기 위해. 하지만 너무 많으면, 곰팡이가 생긴다.
- 여기서 등장한 but은 지문 전체가 아닌 문장 안에서의 역접이에요.
- too는 '너무, 지나치게'라는 부정적인 의미
- 방향 일치: 습기는 건조 방지에 필요 (=농산물을 위한 공기 관리)
- 보기 1번 제외
②Some commercial storageunits have controlled atmospheres, with the levels ofboth carbon dioxide and moisture being regulated carefully.
1) 장치는 공기조절을 가지고 있다. 이산화탄소와 습기를 조절해준다.
-방향 일치:공기조절 장치는 이산화탄소와 습기를 조절 (=농산물을 위한 공기 관리)
-보기 2번 제외
③Though living things emit carbon dioxide when they breathe,carbon dioxide iswidelyconsidered to be a pollutant.
1) 살아 있는 것들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그들이 숨 쉴 때, 이산화탄소는 널리 고려된다 오염물질로.
-???: 우리는 농산물을 위한 공기 관리이라는 큰 방향에 따라 읽고 있어요.
- 이산화탄소가 오염물질인데 뭐 어쩌라는 거죠? 방향과 전혀 상관없어요.
- 보기 3번 답.
- 이후 보기는 그냥 쓰윽~ 보기만 합시다.
④Sometimes other gases, such asethylene gas, may be introducedatcontrolled levels to help achieve optimal quality of bananasandother fresh produce.
1) 때때로 에틸렌가스는 유입됩니다. 최상품의 바나나와 다른 농산물을 위해.
-방향 일치: 에틸렌가스는 최상품 바나나와 다른 농산물을 위해 유입된다 (= 농산물을 위한 공기 관리)
-보기 4번 제외
⑤Relatedto the control of gases and moisture is the needfor some circulation of air amongthe stored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