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듣기 방법 및 전략이 아니라,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듣기를 지도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한 내용이에요.

선생님이라면 다시 한번 방법을 기억하는 기회

학생이라면 듣기 수업을 들을 때 왜 지금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요!

 

 

[Listening]

 

듣기는 외국어 음성정보를 머리에 입력하는 행위예요. 그런데 외국어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음성정보를 머리에 저장할 수 있을까요? 그렇기에 우리는 학습자의 머릿속에 외국어에 대한 정보를 심어줘야 해요 

 

[Before Listening]

 

모든 언어 수업의 기초는 Schemata(=선험 지식, 배경지식)을 형성하는 것에서 시작해요. 최근의 교육학은 선생님들이 학습자가 직접 자신의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수업) 사이 관계를 조직해서 지식을 형성한다는 구성주의에 근거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기를 바라고 있어요. 이때  schemata는 일종의 "기존의 정보"에 해당하죠. 

 

 1) Content schema: 익숙한 주제라면 학습자는 그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는거죠, 학습자가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높은 듣기 이해를 기대할 수 있죠

 

 2) Linguistic schema: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의미해요, 발음이나, 문장의 높낮이 등 다양한 정보를 의미하죠

 

 3) formal schema: 언어는 전달될때 항상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구조를 알고 있다면 그만큼 처리해야 하는 정보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죠

 

[Listening comprehension process]

 

그렇다면, 학습자의 머릿속에 들어간 언어적 정보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저장이 될까요? 과정은 3가지로 구성되어 있어요

1) Bottom up: 상향식 처리 방법이라고 해요,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거죠. 단어 개별의 소리, 문장의 소리, 지문 전체의 구성으로 확장하는 거죠.

2) Top down: 하향식 처리 방법이에요. 이 방법을 통해 학습자는 본인이 가진 schema를 활용해서, 내용을 이해하고, 예측하고, 의미를 추론하는 거죠.

3) Interactive processing: 의사소통적 처리 방법이에요. 위의 1), 2)의 방법을 합친 거죠. 가장 이상적이긴 하지만, 가장 어렵죠. 좋은 거 누가 모르나요

 

 

[Listening material & type]

 

듣기에 쓰이는 자료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Extensive listening교실에서 발생하는 Intensive listening이 있어요. extensive listening은 우리가 팝송을 듣고, 미드를 보는 것처럼 흥미 위주 또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듣기예요. 

그리고 type에는 소통에 대한 듣기 (=interaction),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둔 듣기(=transaction)가 있어요.

 

 

[Listening Stratigies]

 

듣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 schema라고 했어요. 듣기 전략도 schema를 얼마나 잘 형성할 수 있는지에 집중한답니다. 또한 전략은 가장 크고 넓으며 보편적인 수준에서 시작으로 세밀하고, 정밀한 수준으로 축소해 나가야 해요. 즉 시선을 숲에서 나무로 가는 거죠.

 

1) Gist: 교실에서 듣기를 진행하고 T/F혹은 O/X 수준의 문제를 진행하는 거예요. 

2) Scanning: 듣기 후, 특정한 정보를 찾는 활동이에요.

3) Details: 듣기후 세부 정보를 찾는 활동이에요.

4) Making inference: 듣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정보지만, 듣기에서 얻은 정보로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활동이에요

ex) 하계 올림픽을 개막합니다. 자원봉사자를 추가 모집합니다. >> " 아 하계올림픽에는 많은 사람이 필요하구나 or 자원봉사자가 미달되어서 추가 모집하는 건가?"

 

[Listening Stages]

 

1) pre listening: 학습자의 schema를 살리는 과정이에요. 이 과정에서 선생님은 Brainstorming(배경지식 확장), Using visual (정보의 시각화), personal Question(개인화, 수업 내용을 자신의 경험과 동일시하는 과정), language preparation(학습자가 모를만한 단어에 대한 수업을 먼저 진행)을 진행하게 돼요. 이 단계에서는 듣기 자체에 대한 활동은 거의 없어요. schema의 입력이 먼저니까요 

 

2) while listening: 이제 본격적으로 듣기가 시작되어요. 학습자 수준에 따라 literal, inferencial, critical의 수준으로 듣기를 진행할 수 있지만, 이는 요약의 취지와 벗어나므로 제외! 이 과정에서 선생님은 학습자들에게 정보를 찾는 활동 (=scanning), 세부 정보를 확인하는 활동 (=details) 추론 활동 (=guessing)등을 하게 되죠

 

3) post listening: 마무리 단계예요. 이 단계에서는 while 단계에서 학습자가 만든 결과물에 따라서 교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예요. 결과에서 학습자들이 특히 많이 틀리거나 어려워한 문제에 대한 feedback을 제공하는 거죠. 이 단계의 목표는 학습자에 대한 진단(=diagnostic)이에요. 

 

 

외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모형들은 많이 있어요. 각 학자들 마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관점에서 발생한 모델들이죠, 언어 습득 관점에 대해 어느 정도 학습이 되어 있다면, 아래 등장하는 모델들의 특징을 파악하긴 어렵지 않아요

여기서 등장하는 모델들은 우리 아이들의 언어 학습에 적용시켜볼 수 있어요. 실제로 알게모르게 학교, 학원에서 적용하고 있는 모델들도 있고요

 

 

 

[선천주의 모형]

학부모 한 줄: 아이가 이해할만한 input만 있으면 언어 학습 끝!

 

 

처음 시작은 선천 주의 관점에 근거를 두는 모형이에요. 제일 대표적인 학자로는 krashen이 있으며, 그는 "Input hypothesis"를 주장했어요. 이 가설은 선천 주의에 근거를 두고 있는 만큼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 I+1)이 학습자에게 주어진다면, LAD(=language acquisition device)를 통해 언어 습득은 자연스럽게 발생한다고 생각했죠.

 

그는 학습이 발생하기 위한 4가지 조건을 제시했어요.

1) comprehensible input: 이해 가능한 입력이에요, 이때 중요한 건 입력의 수준이 학습자의 수준(i) 보다1 정도 높은 수준이어야 한다는 거죠.

 

2) affective filter: 학습자의 감정은 학습에 있어서 정신적인 방어막과 같아요. 감정 여과장치가 높을수록 학습자는 언어 학습에 대해 거부하게 돼요.선생님 혹은 부모님은 학생의 감정 여과장치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해요.

예를 들자면, 일본 애니메이션이 있어요. 많은 학생들이 일본 만화를 좋아하고 일본어를 배우고자 하죠. 이때가 바로  affective filter가 낮은 상태인 거죠

 

3) natural order: 학습자에 대한 학습은 강제로 할 수 없고.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는 주장이에요

 

 

4) monitor hypothesis: 단순하게 입력에서 끝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에 대해 스스로 검사해야 한다는 가설인데, 크게 강조하지는 않아요.

 

 

 

[인지주의 모형]

학부모 한 줄: 아이의 정보 처리 능력은 어른보다 뛰어나다. 기다림의 미학을 상기시키자!

 

 

사실 인지주의에 근거를 두는 모형은 언어 학습을 위한 모델이라기보다는 들어온 정보가 학습자의 머리에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에요 대표적인 학자로는 Mclaughlin과 Bialystock, schmidt가 있어요. 우선 Mclaughlin에 대해서 볼게요

Mclaughlin은 학습자의 정보 처리 과정을  "Information processing model"을 통해서 설명했어요. 아래 표를 보세요

 

 

Controlled (집중!)

Automatice (자동!)

Focal (! 집중)

1) 수영을 처음 배우는 상황

3) 수영 라인 따라서 혼자 수영할 수 있는 상황

Peripheral (집중 낮음!)

2) 배운 수영동작을 해볼 수 있는 상황

4) 어디 가서 수영한다고 얘기할 수 있음!

아이들의 경우 2)에서 바로 4)로 간다고 해요.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보기엔 주의 집중력이 낮아 보여도,실제로는 학습을 위한 과정이 적어서 빨리 배울 수 있죠. 하지만 성인 학습자의 경우 1)~4)의 과정을 거쳐서 학습하기 때문에, 많은 주의집중, 시간 그리고 노력을 필요로 하죠.

 

Bialystock은 그렇게 해서 학습에 의해 생성되는 지식 "implicit & explicit knowledge"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행동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지만, 실제 사용엔 제한이 있는 지식을 명시적 (explicit 또는 declarative knowledge) 지식이라고지식 했으며, 말로 과정을 설명은 못하지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을 암시적 (implicit 또는 procedural knowledge) 지식이라고 했어요

 

예를 들자면 우리가 한국말 쓰는 건 암시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죠. 과정을 몰라도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반대로 영어를 쓰는건 명시적 지식이죠. 말로 과정은 설명할 수 있는데 실제 사용은 제한이 있으니까요

 

인지주의를 근거로 하는 대표적인 학자 마지막은 Schmidt에요. Schmidt학습이 발생하는 순간에 대해 "Noticing hypothesis"를 주장했어요. 그에 따르면 모든 학습은 인지(noticing)가 발생해야만 발생하는 거죠.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공부하는 순간 뭔가 불현듯 떠오르면서 "!" 하는 순간 있죠? 그 순간에 진짜 학습이 발생하는 거죠.

 

 

[구성주의 모형]

학부모 한 줄:  진정한 언어 학습은 외국어로 협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해요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과 지식은 학생이 스스로 소통하는 과정에서 구성된다고 봤어요. 대표적인 학자는 Long과 Swain 그리고 Vygotsky가 있어요. 우선 Long의 "Interaction hypothesis"초기와 후기로 나뉘어요.

초기 "Interaction hypothesis" 에는 Krashen의 "comprehensible input"에 대해 동의했으며, 이해 가능한 입력을 위해 Long은 소통이 필수라고 생각했어요. 그는 여기에 소통이 쉬워지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했어요.

>> 초기 Long은 input을 강조했어요

 

1) negotiation of meaning: 의미의 협상

2) modified interaction: 수정된 상호작용

>> 협상이란 것은 우리가 아는 협상이 아니에요. 선생님이 학생이 충분하게 이해할 때까지 반응을 보며 원래 문장에서 추가적으로 simplify 하는 과정을 의미해요

>> 수정된 상호작용이란 단어, 문법, 글의 구성 등을 원래의 문장보다 쉽게 바꾼 걸 의미해요

 

3) teacher talk(= input modification+ interaction modification)

선생님은 학생들의 외국어 이해(=input)를 돕기 위해 Lexical(어휘), grammatical(문법) modification (=수정)을 해야 해요.

그리고 대화 과정에서 끊임없이 확인하고 (confirmation check), 이해 여부를 확인하고 (comprehension check), 명확하게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해요 (clarification check)

 

시간이 흘러, 여러 한계로 Long은 후기에 "Interaction hypothesis"를 수정했어요. 초기의 input에서 output으로 중심을 이동한 거죠! 초기에는 input을 위한 의미의 협상과 수정된 상호작용을 제시했지만 후기에는 그 모습이 조금 달라요

 

1) negotiation for meaning: 의미의 협상

2) corrective feedback: 교정적 정보

>>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협상과정에서 학습자의 언어적 지식이 학습된다고 봤어요.

>> 교정적 정보란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정을 말해요.

>> 예를 들자면 아가가 "엄마 밥 먹다"라고 발화하면, 엄마가 "밥 먹어요"라고 수정해주는 거죠

 

3) swain의 “pushed output”

swain도 직접 말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 학자예요. 이해 가능한 발화(=comprehensible output)를 하도록 요구했을 때 학습자는 자신의 언어적 수준을 올릴 수 있다고 본거죠

 

 

Vygotsky의 sociocultural theory, Vygotsky는 학생이 스스로 발전해서 도달 가능한 영역에는 한계가 있다고 봤어요. 하지만 어른 혹은 보다 높은 수준을 가진 사람과 소통하면, 언어의 발전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수준의 지적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죠. 예를 들자면 멘토와 멘티의 관계예요. 그의 주장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아래 두 개예요

 

1)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근접 발달영역)

실제 발전 영역과 잠재적 도달 가능 영역 (=도움을 받는 소통을 통해 도달 가능한)의 차이를 의미해요

2) Scaffold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의미해요, 예를 들자면 발판이죠

 

 

 

오늘은 외국어 습득에 관한 모델들을 살펴봤어요. 

교육대학원 면접을 보면서 직접 질문을 받아본 적은 없는 주제예요

하지만 교육학의 모든 내용이 그렇듯 다 연결되어 있으니 한 번쯤 보고 가면 좋아요!

오늘 하루도 기분 좋은 하루가 되길 바라며!

 

 

영어 교육학의 발전과정을 아는것은 중요하죠!

영어 교육학은 다양한 가설과 시도로 발전했어요. 영어 교육학과 면접 시 가장 많이 물어보는 영역 중 하나예요. 예를 들어 "행동주의에 대한 생각은 어떻습니까?" "선생님은 어떤 교육 방법을 선호하나요? 그 방법은 어떤 가설 혹은 이론에 영향을 받았습니까?"라는 식으로 질문이 가장 많이 나왔죠. 실상 "영어" 자체에 대한 교육 방법이라고 하기엔, 일반 교육학 내용에서도 다루는 내용이에요. 

 

오늘도 공부 요약 시작합니다!

 

 

[언어 습득의 큰 3줄기]

언어 습득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 크게는 3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어요. 순서에 따라 행동주의, 선천 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로 발달했죠. 최근 강의에서는 구성주의를 활용한 교실 교육 방법에 대해 강조하고 있어요. 

 

1) 행동주의

2) 선천주의> 인지주의

3) 구성주의

 

[행동주의 특징]

 

행동주의 언어관은 Structuralism으로 언어는 개별 단위로 분리와 학습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어요. 또한 선생님이 수업의 중심이 되어 수업을 이끌어나가요. 이런 생각은 인지주의까지 이어져요.

 

행동주의 학습은 "모방, 반복, 강화"로 구성되어 있어요. 선생님의 발화를 학생들은 모방하고, 반복하며 그에 따른 보상(=강화)으로 학습이 발생하는 거죠. 이 관점에서 학생은 선생님의 발화를 모방하고 반복을 통해 학습하기 때문에 오류를 만들 수 없다고 봐요. 즉 오류는 학습의 실패로 보는거죠.

 

이런 생각을 적극적으로 따른 교실수업 방법은 Audiolingual method 가 있어요. 우리 어린 시절에 컴퓨터실에 앉아서 헤드폰 끼고 나오는 소리를 듣고 반복하는 게 이 방법이에요.

 

 

[선천 주의> 인지주의 특징]

 

행동주의 한계(=학습한 적 없는 오류의 발생)를 반박하며 선천 주의가 새롭게 등장했어요. 선천 주의에 따르면 아이의 뇌 속에는 LAD(language acquisition device)라는 장치가 있는데, 이 장치가 아이들의 언어 습득을 도와준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 이론으로 설명 가능한 것은 모국어에만 한정되기에 행동주의와는 또 다른 한계를 가지고 있었죠.

 

이때 등장한 게 인지주의예요. 인지주의유의미 학습 (meaningful learning)으로 학습을 설명했어요. 이 관점에 따르면 학생의 학습은 기존의 지식(Old)과 새로운 지식(New)을 유의미한 결합 과정인 거죠. 

 

이런 생각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실 수업 방법은 Advance organizer에요. 새로 배울 내용을 학습자가 기존에 학습한 내용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거죠. 배경지식이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예를 들어 고양이에 대한 지식(old)을 가지고 있다면, 다음날 학습에서는 이와 관계가 있는 강아지에 대해 배울 때 (new) 학생이 유의미한 관계 (애완동물의 종류, 반려동물 등)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거죠.

 

 

[구성주의 특징]

 

끝으로 최근 교육학의 중심인 구성주의예요. 이 관점에서 학습인지주의와 함께 언어의 기능인 "소통"의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봤어요. 소통이 중심이 되는 만큼, 소통의 주인공인 학생에게로 교실의 중심이 이동(learner centered instruction)하게 되어요.

 

학생에게로 교실의 중심이 이동한만큼, 교실 수업의 방향도 달라졌어요.

1) Schematic knowledge: 이제 학생의 선행지식이 수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해졌어요. (유의미한 관계 형성)

2) Individual difference: 학생이 소통하고 지식을 스스로 구성한다는 것은, 같은 input에도 학생마다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의미해요

3) Personalization: 스스로 지식을 구성한 결과로 학생은 자신의 지식과 아는 정도에 맞춰 발화하고 이해할 수 있어요

4) Whole language appraoch: 이제 언어는 독립된 개별 요소의 합 (단어, 발음, 쓰기, 듣기 등)이 아닌 하나의 통합된 언어로 접근하게 돼요. 즉 통합수업인 거죠. 이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에서 가진 언어관과 다른 접근이에요.  

 

 

 

 

[생각해볼 점]

 

구성주의는 반드시 공부하세요! 중요해요!

이 포스팅은 공부 복습을 위한 요약 정리입니다! 

언어에 대한 지식은 receptive skills와 productive skills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receptive skills는 듣기와 읽기 그리고 productive skills는 말하기와 쓰기를 의미해요. 어렵기는 엄청 어려운데, 어려운 난이도와는 별개로 교수법 대한 설명이 비교적 단순(?)해요.

 

[영어 쓰기 접근방법과 특징]

 

영어 쓰기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우선은 product-oriented approach, 그다음은 process-oriented approach에요.

 

1) product-oriented approach결과물 중심 접근이에요. 초보 학습자에게 적합하며, error-free text를 만드는 것이 목표예요. 그래서 잘 쓰인 text 혹은 외국에서 작성된 자료를 그대로 복사, 변형하는 형식의 수업을 위주로 해요.

 

2) process-oriented approach과정 중심 접근이에요. 학습자는 글을 자유롭게 써요, 진짜요! 다만 같은 주제에 대해 써요. 그리고 글이 완성될때 마다 feedback을 해요. feedback의 주체학습자 본인(check list), 동료(peer-editing) 혹은 선생님(conferencing)이 진행해요. 이런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사고 과정이 수정, 보완하는 과정에서 발달된다고 보기 때문이에요. 

[영어 쓰기 단계]

1) pre writing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주제를 고르기 위해 자유로운 글쓰기를 진행해요. word mapping(주제를 관련단어로 내용 조직을 확장, 정교화), brainstorming, freewriting(=quick writing,5~10분 동안 쓰기) 등의 활동을 진행하죠. 이 단계는 초벌구이와 같아요. 글을 완벽하게 쓰기보단 생각을 정리하는 단계라고 생각하면 돼요.

 

2) while- post writing

이 단계에서는 process-oriented approach에 따라 글을 쓰고, feedback 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해요, 선생님은 feedback을 진행할 때 학습자의 fluency요소를 집중적으로 봐야 해요. 말하기에서도 얘기했듯, 언어의 가장 중요한 것은 매끄러운 의사소통과 정보전달이니까요. 그리고 여러 번의 feedback을 거쳐 점차 집중의 중심을 accuracy로 옮겨 가요. 매끄러운 전달도 문법의 정확성 없이는 힘드니까요. 

 

[영어 쓰기 feedback]

영어 쓰기 시작부터 지금 까지 feedback이 많이 언급되었어요. 그만큼 feedback이 가진 힘이 강력하기 때문이죠! 선생님은 학습자의 강점과 fluency에 우선 집중하고 점차 약점과 accuracy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feedback을 진행해야 해요. 단 feedback은 학습자의 성적에 대한 평가가 아닌 성장의 발판이란 개념을 가지고 해야 해요. 

 

1) Check list: 학습자에게 본인의 글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표를 제공해줘요. check list가 문법적인 요인에 집중한다면 accuracy를 내용의 구성에 집중한다면 fluency를 체크할 수 있겠죠

 

2) Written comment: 선생님이 학습자들에게 칭찬할 점과 수정할 점을 글로 써서 제공하는 방법이에요

 

3) Talking about the paper: 선생님이 학습자와 1:1로 글에 대한 얘기를 나누는 거예요,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죠.

 

[영어 쓰기 활동]

1) controlled writing: 이 활동에서 학습자는 맥락이 없는 문장을 반복, 변형하는 방식으로 글을 써요. 문법 수업이면서 동시에 초보 학습자에게 많이 쓰이는 방법이죠. 예를 들어 "he writes a sentece"라는 문장에서 주어를 바꿔서(ex: "she writes a sentence") 써보라던지, 동사시제를 바꿔서(ex: "he wrote a sentence") 써보라던지 말이죠.

 

2) guided writing: 이 활동에 학습자는 약간의 맥락이 있는 문장들을 받아요. 학습자는 질문에 대한 답을 글로 작성하거나, 주어진 문장들을 합쳐 하나의 text로 만드는 활동을 하죠.

 

3) dicto composition: 선생님이 2~3번 읽어준 단락을 순전히 기억에 의존(노트 필기 없이!)해서 재구성하는 활동이에요. 

 

4) free writing: 학습자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거예요. 실생활과 관련된 글이라 학습자의 높은 동기를 기대할 수 있어요.



3.27 복습입니다!  하나의 가이드라인입니다. 

이 안을 채우는 것은 선생님의 역량입니다. 

교육대학원 진학을 꿈꾸시는 분들은 기본적인  단순 내용 암기도 중요하지만, 

내가 수업과정을 무엇으로 채울 수 있을까 고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많이 물어보는 건 기본 내용.....

대학 수준이 높을수록 응용, 적용을 물어봅니다.



[영어 말하기 교육]


영어 말하기 교육(이하 말하기)은 외국어 학습자에게는 늘 큰 난관이죠. 반을 운영하는 선생님은 오류 수정의 방식, 발음, 강세, 담화, 활동 등 다양한 영역을 두루 볼 수 있어야 해요.


[영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


말하기의 목표는 Communicative competence를 키워주는 거예요. communicative competence 안에는 3가지 competence가 있어요.


Discourse competence: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능력이에요.

Sociolinguistic competence: 상황에 맞는 말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에요.

Stategic competnece: 끝으로 전략적인 능력은, 학습자가 부족한 능력을 보완 (다른 어휘, 다른 문장 사용 등) 하는 능력이에요.


[영어 말하기 교육의 원칙]


말하기 수업에서 학습자는 3가지 원칙 아래 수업을 진행해요.

1) Negotiation for meaning (의미 협상):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문법, 어휘 능력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어요.

2) Personalization (개인화): 배울 지식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에 맞아야 해요. 그래야 수업의 진행이 더 동기가 넘치게 (?) 유지할 수 있어요.

3) Noticing the gap (=차이 인지): 학습은 학습자가 가진 지식과, 배워야 하는 지식의 차이를 인지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요. 


[영어 말하기 교육의 중점]


말하기 수업을 정확성 (=발음, accuracy)에 중심을 둘 것인지, 유창성 (fluency)에 중심을 둘 것인지 고민해야 해요. 다만 말하기 수업은 최근에 유창성에 더 중심을 두고 있어요. 

말하기 발음의 정확성도 중요하지만, 언어 학습에 가장 궁극적인 기능은 의사소통이라는 점에서 얼마나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전달하고, 소통을 매끄럽게 이어갈 수 있느냐를 중시하는 거죠!


1) PPP 방법으로 학습자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요: Presentation practice produce, 미리 학습할 요소를 정해 놓고 수업을 연습, 발화하는 것이죠.

2) TBI 방법으로 학습자의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요: task based instruction, task란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해결하는 하나의 활동을 의미해요.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미 협상이 발생하고, 유창성이 향상되죠!


[영어 말하기 교육이 잘 진행되는 교실+ 그렇지 않은 교실의 특징]


말하기 수업에 적극적인 교실은 말하기에 두려움이 없어요, 모든 학생들이 균등하게 대화에 참여해요, 외국어에 대해 거부감이 적고 끝으로 동기가 높은 상태에요. 


하지만 말하기 수업에 적극적이지 않은 교실은 학생들의 말 하기 동기가 매우 낮아요, 대화에 참여하지 않으려 하고, 모국어를 사용하려고 하고, 말 자체를 거부하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생님은 조별 활동을 실시해요. 조별 활동을 통해서 

첫 번째 학습자의 감정적 필터를 낮추고( 높으면 학습에 힘들어요), 

두 번째 학습자들이 원하는 토픽으로 대화를 진행해요, 

끝으로 각 그룹의 리더를 정해서 균등하게 대화가 이어지게끔 유도해요.


[영어 말하기 교육 활동]


활동으로는 information gap, jigsaw, role play, simulation이 있어요. 각각의 활동은 정보교환, 유창성 향상에 집중한 활동이에요.


[영어 말하기 교육 feedback]


말하기에 있어서 학습자 피드백은 매우 중요해요. 사실 모든 활동에서 피드백은 항상 중요하죠. 강점을 우선 칭찬하고, 학생에게 발생한 오류직접적으로 수정하기보다는 힌트를 제공해야 해요.  바로 답을 제공하지 않는 이유는, 답을 제공받은 학생은 생각을 멈춘다고 해요. 하지만 힌트만 제공되었을 때 학생들은 자신이 만든 오류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지식으로 내재화할 수 있게 되다고 해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