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듣기 방법 및 전략이 아니라,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듣기를 지도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한 내용이에요.
선생님이라면 다시 한번 방법을 기억하는 기회가
학생이라면 듣기 수업을 들을 때 왜 지금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요!
[Listening]
듣기는 외국어 음성정보를 머리에 입력하는 행위예요. 그런데 외국어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음성정보를 머리에 저장할 수 있을까요? 그렇기에 우리는 학습자의 머릿속에 외국어에 대한 정보를 심어줘야 해요
[Before Listening]
모든 언어 수업의 기초는 Schemata(=선험 지식, 배경지식)을 형성하는 것에서 시작해요. 최근의 교육학은 선생님들이 학습자가 직접 자신의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수업) 사이 관계를 조직해서 지식을 형성한다는 구성주의에 근거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기를 바라고 있어요. 이때 schemata는 일종의 "기존의 정보"에 해당하죠.
1) Content schema: 익숙한 주제라면 학습자는 그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는거죠, 학습자가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높은 듣기 이해를 기대할 수 있죠
2) Linguistic schema: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의미해요, 발음이나, 문장의 높낮이 등 다양한 정보를 의미하죠
3) formal schema: 언어는 전달될때 항상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구조를 알고 있다면 그만큼 처리해야 하는 정보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죠
[Listening comprehension process]
그렇다면, 학습자의 머릿속에 들어간 언어적 정보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저장이 될까요? 과정은 3가지로 구성되어 있어요
1) Bottom up: 상향식 처리 방법이라고 해요,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거죠. 단어 개별의 소리, 문장의 소리, 지문 전체의 구성으로 확장하는 거죠.
2) Top down: 하향식 처리 방법이에요. 이 방법을 통해 학습자는 본인이 가진 schema를 활용해서, 내용을 이해하고, 예측하고, 의미를 추론하는 거죠.
3) Interactive processing: 의사소통적 처리 방법이에요. 위의 1), 2)의 방법을 합친 거죠. 가장 이상적이긴 하지만, 가장 어렵죠. 좋은 거 누가 모르나요
[Listening material & type]
듣기에 쓰이는 자료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Extensive listening과 교실에서 발생하는 Intensive listening이 있어요. extensive listening은 우리가 팝송을 듣고, 미드를 보는 것처럼 흥미 위주 또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듣기예요.
그리고 type에는 소통에 대한 듣기 (=interaction),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둔 듣기(=transaction)가 있어요.
[Listening Stratigies]
듣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 schema라고 했어요. 듣기 전략도 schema를 얼마나 잘 형성할 수 있는지에 집중한답니다. 또한 전략은 가장 크고 넓으며 보편적인 수준에서 시작으로 세밀하고, 정밀한 수준으로 축소해 나가야 해요. 즉 시선을 숲에서 나무로 가는 거죠.
1) Gist: 교실에서 듣기를 진행하고 T/F혹은 O/X 수준의 문제를 진행하는 거예요.
2) Scanning: 듣기 후, 특정한 정보를 찾는 활동이에요.
3) Details: 듣기후 세부 정보를 찾는 활동이에요.
4) Making inference: 듣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정보지만, 듣기에서 얻은 정보로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활동이에요
ex) 하계 올림픽을 개막합니다. 자원봉사자를 추가 모집합니다. >> " 아 하계올림픽에는 많은 사람이 필요하구나 or 자원봉사자가 미달되어서 추가 모집하는 건가?"
[Listening Stages]
1) pre listening: 학습자의 schema를 살리는 과정이에요. 이 과정에서 선생님은 Brainstorming(배경지식 확장), Using visual (정보의 시각화), personal Question(개인화, 수업 내용을 자신의 경험과 동일시하는 과정), language preparation(학습자가 모를만한 단어에 대한 수업을 먼저 진행)을 진행하게 돼요. 이 단계에서는 듣기 자체에 대한 활동은 거의 없어요. schema의 입력이 먼저니까요
2) while listening: 이제 본격적으로 듣기가 시작되어요. 학습자 수준에 따라 literal, inferencial, critical의 수준으로 듣기를 진행할 수 있지만, 이는 요약의 취지와 벗어나므로 제외! 이 과정에서 선생님은 학습자들에게 정보를 찾는 활동 (=scanning), 세부 정보를 확인하는 활동 (=details) 추론 활동 (=guessing)등을 하게 되죠
3) post listening: 마무리 단계예요. 이 단계에서는 while 단계에서 학습자가 만든 결과물에 따라서 교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예요. 결과에서 학습자들이 특히 많이 틀리거나 어려워한 문제에 대한 feedback을 제공하는 거죠. 이 단계의 목표는 학습자에 대한 진단(=diagnostic)이에요.
'[짭짤한] 교육학& 영어교육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cher's Grammar] Chapter 14 Modal Verbs (feat 조동사) part 1 (4) | 2019.05.03 |
---|---|
[Teacher's Grammar] Chapter 4 Questions (feat 의문문) (0) | 2019.05.01 |
[영어교육학] 외국어 습득 모형 (5) | 2019.04.01 |
[영어교육학] 언어 습득 및 학습유형 (0) | 2019.03.30 |
[영어교육학] Teaching Writing (0) | 2019.03.28 |